분류 전체보기 132

[복지정보] 장애인활동지원사업 A to Z

1. 목적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자립생활을 지원하여 가족의 부담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장애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 2. 서비스대상 ○ 만6세 이상 65세 미만 장애인복지법상 등록장애인 ○ 장애인복지법 상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결과에 따라 산출된 종합점수 42점 이상이어야 함. 3. 활동지원구분 및 내용 서비스명 서비스내용 서비스 제공인력 신체활동지원 목욕도움, 세면도움, 식사도움, 실내이동 도움 등 - 활동지원사 교육 이수자 -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가사활동지원 청소 및 주변정돈, 세탁, 취사 등 사회활동지원 등하교 및 출퇴근 보조지원, 외출 동행 등 방문목욕 가정방문 목욕제공 - 요양보호사 1급 방문간호 간호, 진료, 요양상담, 구..

카테고리 없음 2024.02.28

[복지궁금] 노인돌봄으로 힘들때 어떻게 해야 할까?

가족돌봄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들이 많다. 노부모에게 갑작스럽게 찾아온 질병, 치매, 그리고 어린 자녀가 갑작스럽게 중병에 걸린경우 가족 구성원 누군가는 옆을 지키면서 돌봐줘야 하는데 사실상 그럴 수 있는 상황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이럴때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먼저 노인부분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1. 가족돌봄 등 근로시간 단축제도 근로자가 본인의 필요에 따라 사업주에게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할 수 있도록 법으로 보장하는 제도 ※ 근로시간 단축사유 ⊙ 단축시간 및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후 근로시간은 주당 15~30시간이며 단축기간은 1년 이내입니다. 연장은 총 단축기간 3년(단, 학업은 1년) 범위내에서 1회 가능함. ⊙ 근로시간 단축 허용예외 근로자가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하면 사업주는 허용해..

카테고리 없음 2024.02.26

[복지궁금] 장애인 종류와 등급별 기준

사회복지 현장에 있다보면 다양한 종류의 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를 만나게 된다. 예전에는 이러한 장애인에 대한 등급이 마련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등급을 나누는것이 인권적으로 맞지 않다는 의견이 많아 19년7월1일부터 등급제 장애등급은 폐지되고 '심한장애', '심하지 않은 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장애인의 분류에 대해 알면 좋지 않을까란 생각에 해당 내용을 정리해서 올려본다. 그럼 여기서 과거 장애등급에 대한 내용은 어떻게 변경되었을까? 참고로 장애연금과 장애수당을 나누는기준은 장애등급이 심한장애인지 심하지 않은 장애인지를 구분하는것인데, 3급의 경우 중복장애여야 중증장애인에 해당한다. 다음은 장애유형별 최소 장애정도 기준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4.02.12

[복지궁금] 자립지원 별도가구란?

1. 자립지원별도가구란? 자립지원 별도가구란, 수급자 가구에 포함된 자녀가 취, 창업으로 인한 소득발생으로 다른 가구원의 수급권 탈락을 막고 자녀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여 빈곤의 대물림을 예방하는 제도이다. 2. 대상가구 18세 이상 34세 이하의 취, 창업 자녀 또는 형제(자매)가 있는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권자 가구. 3. 보장내용 및 기준 같은 주소지에 살더라도 다른 가구원의 수급권 보호 - 공통적용 : 취, 창업 자녀 1인당 60만원 이상의 소득이 있어야 함. (※ 60만원 미만의 경우 수급비에서 제하고 받는것이 더 좋기 때문에 60만원 이상으로 기준정함.) - 생계급여 : 취, 창업 자녀가 아래기준에 해당할 경우 취, 창업자녀를 제외한 다른 가구원의 수급권 보호. ◎ 소득기준 가구수..

[홈페이지 개발]-2 홈페이지 만들기

홈페이지 만들기 2번째다. 이번주는 부분을 모두 마무리 하자는 목표를 세웠다. 그럼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고 만들어보자! link 태그는 연결고리? 메타태그에 이어 나에 눈을 사로 잡은 태그가 있다. 바로 link 태그!!! 현재 만드는 홈페이지에는 11개의 링크태그문이 있다. 영어로 적힌대로 무언가를 연결하는 연결고리인것 같다. 정확한 용도를 알아보자. 태그는 외부 리소스 연결요소로 현재 웹문서와 리소스의 관계를 연결하는데 제일 많이 사용된다. 링크함수 구성을 보자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rel은관계(relationship)을 이야기한다. 우리가 동주민센터 가서 가족 이름으로 무언가 발급 받을때 말하는 바로 그 관계, 여기서는 "다음에 올파일은 이 웹문서의 "stylesheet"입니다." 라고 이야기 하..

카테고리 없음 2024.01.17

[홈페이지 개발]-1 홈페이지 만들기 시작!

작년부터 생각했던 나만의 홈페이지 만들기를 시작했다. HTML, CSS, Javascript까지 어느정도 공부를 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혼자 만들려고 하니 어디서 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우선 유튜브로 대뜸 '홈페이지 개발, 홈페이지 만들기' 검색하고 만드는 방법들을 두루 시청했다. 그리고 기존에 만들어진 HTML, CSS 무료 템플릿을 가지고 와서 만들자고 결정하게 되었다. 구글로 'html css template'를 치고 나온 사이트중 free-css 사이트에서 맘에 드는 템플릿을 골랐다. 내가 고른 홈페이지는 "BROWNY FREE CSS TEMPLATE"로 누군가 감사하게도 공유해준 템플릿이었다. LIVE DEMO를 열어보니 개발자 이력을 소개하는 템플릿이었다...

카테고리 없음 2024.01.14

[기술용어]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란? 현실 세계의 문제를 분석하여 해결책을 찾는 과학적 사고법이다. 그리고 이렇게 설계한 해결책을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작성하는 것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즉, 하나의 문제를 작은 문제로 분해하고, 문제의 패텬을 발견하고, 어떤 데이터를 이용할 지 결정하고, 문제를 일반화하고 모델링할 수 있는지를 찾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Computational Thinking 구성 1. 분해(Decomposition) : 복잡한 문제를 조금 더 컨트롤이 가능한 작은 문제로 나눈다. Breaking a complex problem down into smaller, more manageable parts. 2. 패턴인식(Pattern Recognition) : ..

기술/IT 2023.12.21

[복지궁금] 수급자는 보험에 가입해도 괜찮을까?

현장에 근무하다 보면, 수급자 분들 중 기존에 가입했던 보험금 납부로 힘들어 하시는 분들이 많았다. 내가 봤던 한분은 1인생계급여를 받으면서 보험료만 20만원을 넘게 내시는 분도 있었고, 추후 건강을 염려하여 가입하고 싶다고 고백한 분도 있었다. 심지어 의료급여를 받고 계시는 분인데, 미래에 대한 걱정을 잠재우기 위해 본인 경제력을 뛰어넘는 보험가입... 괜찮을까? 아니 가입하는것을 국가에서 인정해줄까? 먼저 답은 실손보험은 아무런 걱정없이 가입이 가능하고 나머지는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보험은 아래 세가지 분류로 나뉜다. 1. 저축성 보험 : 연금보험, 종신(사망)보험 2. 진단비 보험 : 암진단비, 암수술비 3. 실손보험(실비보험) 여기서 3번 실손보험처럼 해약환급금이 없는 보험의 경우 나중에 보..

[스마트워크] 복지관 스마트 차량대장 및 외근대장 만들기 2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구글 설문지 활용 이제 어떤 도구로 만들어야 할지 고민할 차례다. 도구는 현재 우리복지관 직원들이 잘 사용하고 있는 구글을 이용하기로 했다. 바로 구글 설문지와 구글 스프레드시트이다. 직원들이 평상시 잘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이어서 이해도 쉬울것 같았다. 그리고 내가 어느정도 자신있고 재미있게 공부하고 있는 분야여서 충분히 잘 만들 수 있을것 같았다. 흘러가는 방향은 이렇다. 1. 차량대장을 구글 설문지로 만든다. 2. 구글 설문지로 차량탑승 내용을 입력하면 해당 입력한 시간(분, 초까지 표시됨.) 고유ID로 설정하고 해당 데이터를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옮긴다. 3.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차량대장, 외근대장을 만들어 두고, 구글 설문지로 들어온 데이터가 각 표내용에 맞게 적용되게 만들어 ..

카테고리 없음 2023.12.09

[스마트워크] 복지관 스마트 차량대장 및 외근대장 만들기 1

차량대장과 외출대장과 시간을 같이 작성하기 위한 번거로움 ... 방법이 없을까? 복지관에 10년을 넘게 근무하다 보니 차량이용 후 외출대장을 작성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언제부터인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예전 시감사 내용으로 차량을 이용한것에 대한 "근거"가 없다며, 관련 기록을 남겨놓을것으로 지적을 당했었다. 그날 이후 우리는 외출시 항상 외근대장을 작성하게 되었고, 외근이후 돌아와서는 차량대장시간과 외근대장시간이 동일하게 입력해야 했기에, 차량 하차시 차량대장을 카메라로 찍고 관련내용을 같이 동승한 직원들과 공유하고 그 내용을 수기로 작성해야 했었다. 이러다 보니 한번 출장가게 되면 사전 외근대장 결제를 올리고 다녀와서는 차량일지 작성, 차량일지 카메라 촬영, 그리고 촬영한 사진 카톡에 공유, 외근대장..

카테고리 없음 2023.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