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IT 12

[Database] 정규화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 복잡한 데이터를 단순하게 관리하는 기술 중복은 악(惡)이다. 정규화는 중복과의 전쟁이다.정규화하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는 집안에 쌓인 먼지와 같다. 보이지 않아도 결국 문제를 일으킨다.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과정이다.데이터를 테이블과 열로 나누고, 특정 규칙(정규형)을 따라 구조화한다.정규화의 주요 목표:중복 데이터 제거: 불필요한 데이터 반복을 줄임.데이터 무결성 보장: 데이터가 정확하고 일관되게 유지.데이터 관리 간소화: 데이터 추가, 수정, 삭제 시 오류(이상 현상) 방지.📚 왜 정규화가 중요한가?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예로 들어보자.같은 책 정보(제목, 저자, 출판사)가 여러 곳에 중복 저..

기술/IT 2025.04.25

[기술용어]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란? 현실 세계의 문제를 분석하여 해결책을 찾는 과학적 사고법이다. 그리고 이렇게 설계한 해결책을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작성하는 것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즉, 하나의 문제를 작은 문제로 분해하고, 문제의 패텬을 발견하고, 어떤 데이터를 이용할 지 결정하고, 문제를 일반화하고 모델링할 수 있는지를 찾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Computational Thinking 구성 1. 분해(Decomposition) : 복잡한 문제를 조금 더 컨트롤이 가능한 작은 문제로 나눈다. Breaking a complex problem down into smaller, more manageable parts. 2. 패턴인식(Pattern Recognition) : ..

기술/IT 2023.12.21

[CMD] 실행중인 프로세서 확인 및 종료

tasklist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서 확인 tasklist | findstr " 찾고자 하는 파일명 및 확장자명" : 실행중인 프로세서 중 특정 프로세서만 따로 불러오기 위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서들 중 특정부분을 종료하기 위한 특정 프로세서명과 확장자를 적자. 크롬을 예로 들어봅시다! tasklist | findstr "chrome.exe" 라고 치고 엔터를 치면 이렇게 크롬과 관련된 리스트만 따로 추출됩니다. taskkill /f /im "종료하고 싶은 파일명 및 확장자명" 크롬창을 강제로 닫기 위해서는 taskkill /f /im "chrome.exe"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강제 종료됩니다.

기술/IT 2023.04.15

[컴퓨터 일반] 컴퓨터가 갑자기 정지했을때 할 수 있는 방법

최근 갑자기 컴퓨터가 멈추기 시작했다고 아는 지인이 컴퓨터를 가져왔다. 이전에도 이런일을 겪은 적이 있어서 해당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지 포스팅 해본다. 참고로 멈춤현상의 이유는 너무 많지만, 높은 확률로 단순 프로그램 오류, 컴퓨터 과부하, 냉각팬 고장 및 먼지로 인한 본체 내부온도 상승, 악성코드/오류에 의한 손상이 이유가 될 수 있지만, 그외 하드웨어 문제나 기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 바란다. 1. Ctrl + Shift + ESC 작동을 통해 다운된 프로그램 "작업끝내기" 클릭 단순 소프트웨어 오류나 과부하로 인한 멈춤현상의 경우 작업관리자(Ctrl + Shift + ESC)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 작업끝내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단,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작..

기술/IT 2022.10.25

[CSS] position 사용법

position은 웹상에 요소를 배치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 static : 요소를 일반적인 문서흐름에 따라 배치합니다. ◎ relative : 요소를 일반적인 문서흐름에 따라 배치하고,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top, right, bottom, left의 값에 따라 오프셋을 적용합니다. ◎ absolute : 요소를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서 제거하고, 페이지 레이아웃 공간도 배정하지 않습니다. 대신 가장 가까운 위치된 조상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합니다. ◎ fixed : 요소를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서 제거하고, 페이지 레이아웃 공간도 배정하지 않습니다. 대신 뷰포트의 초기 컨테이닝 블록을 기준으로 배치합니다. ◎ sticky : 요소를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 따라 배치하고, 테이블 관련 요소를 포함..

기술/IT 2022.09.12

[CSS] float 사용법

float는 '뜨다'라는 의미로 웹페이지에서 컨텐츠(글, 이미지)를 어떻게 표시해서 다른 컨텐츠들과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속성이다. ◎ left: 왼쪽에 부유하는 블록 박스를 생성. 페이지 내용은 박스 오른쪽에 위치하며 위에서 아래로 흐름. ◎ right: 오른쪽에 부유하는 블록 박스를 생성. 페이지 내용은 박스 왼쪽에 위치하며 위에서 아래로 흐름. 이후 요소에 clear 속성이 있으면 페이지 흐름이 달라짐. none 이 아니라면 display 속성은 무시됨. ◎ none: 요소를 부유시키지 않음 ◎ inherit: 부모 요소에서 상속

기술/IT 2022.09.12

[CSS] overflow 사용법

overflow는 박스안에 컨텐츠(글, 이미지)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공간이 없을 경우, 박스를 벗어나는 컨텐츠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설정합니다. ◎ 속성1 : visible 영역을 벗어난 부분을 짜르지 않고 눈에 보이게 함. ◎ 속성2 : hidden 영역을 벗어난 부분을 숨겨서 눈에 안보이게 함. ◎ 속성3 : scroll 영역을 벗어난 부분과 상관없이 자동으로 스크롤 생기게 만듦. * overflow-x:scroll : 가로축 스크롤 생성. * overflow-y:scroll : 세로축 스크롤 생성. ◎ 속성3 : auto 영역을 벗어난 부분이 있으면, 자동으로 스크롤 생기게 만듦. ◎ 속성3 : inherit 부모요소 속성을 상속함.

기술/IT 2022.09.12

[CSS] width와 max-width 차이

◎ width: 100%로 지정한 경우에는 : 창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리면 창의 너비에 맞춰 크기가 충실히 증감한다. ◎ 가로 너비 값을 아무 것도 지정하지 않은 경우 : 창의 크기를 줄여도 이미지 크기에 아무런 변화도 없다. ◎ max-width: 100% 로 지정한 경우 : 창의 크기를 줄이면 줄인만큼 충실히 줄어들지만, 크기를 키울 때는 원래 이미지 사이즈보다 커지지는 않는다. 출처: https://ccuram.tistory.com/29

기술/IT 2022.09.12

<Html> 레이아웃을 위한 시맨틱 요소

시맨틱(semantic) 이란 무엇일까? ▩ 시맨틱 HTML? 프로그래밍에서 시맨틱(semantic)이란, '코드조각'을 의미한다. HTML5 이전에는 모든 구조를 를 통해 잡다보니 한눈에 알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HTML5 부터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게 되었다. 태그종류 표시방법 내용 header 일반적으로 페이지나 해당 섹션의 가장 윗부분에 위치한다. 페이지 맨 위에 쓸 때는 사이트의 제목이 보통 들어가며, 선택적으로 상단바나 검색창 등이 안에 들어갈 수 있다. 태그랑 헷갈리면 매우 곤란하다. section이나 article, aside 등으로 묶어놓은 섹션 안의 헤더 용도로 사용해도 된다. 이건 아래 footer 태그도 마찬가지다. nav 내비게이션(navig..

기술/IT 2022.03.09

웹서비스 만들기 "좋은이웃들 방문 기록 웹" 기획안

'우리동네 안전지킴이'으로 이름을 정한 이유 현재 복지관에서 일을 하고 있다. 나의 업무는 아파트 단지내 독거어르신들의 안부를 확인하고 필요시, 해당 가구에 맞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이다. 팀원 5명과 자원봉사자 10명이 함께 하는 업무라서, 실시간 독거어르신들의 안부확인에 대한 내용이 공유되어야 하는데 매번 전화상으로 독거 어르신의 변화사항이나 서비스 진행상황에 대해 안내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그래서 웹을 통한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한 웹을 만들고, 우리동네에서 활동하는 우리 직원들과 봉사자를 안전지킴이라는 호칭을 사용해서 '우리동네 안전지킴이'라고 정했다.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구상하기 나뿐만이 아니라 다른 팀원들,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돌보는 독거어른세대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정보공유와 필요..

기술/IT 2022.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