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합창단 공연 준비 업무시 확인해야 할 것들

GreatTree.HEO 2021. 10. 26. 14:33
728x90

오늘 복지관에서 합창단 공연이 있었다.

원활한 사업준비를 위해 우리 담당선생님이 한달동안 준비에 수고를 했다.

행사준비를 돕는 과정에서 내가 생각한 공연행사 준비시 필요한 점에 대해 적어보았다.

1. 대관은 최대한 일찍!

각 공연장마다 대관가능한 일정이 있다.
길게는 일년전에 대관을 해야하는곳이 있는가 하면 짧게는 한달전에 대관을 해도 가능 한 곳이 있다.

만약 공연 행사 일정이 있다면 미리 사전에 공연장 대관일정을 확인하는것이 중요하다.

2. 사전 공연장 방문 실사는 필수!

복지관에서 진행하는 공연행사 특수상 장애인, 노인이 주인공이 되서 행사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들을 위한 편의시설이 있는지, 또 움직이는 동선에 있어 불편한점은 없는지 미리 파악하는것이 중요하다.

예로 어르신합창단 공연의 경우 긴 드레스를 입고 출연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낙상사고에 주의를 해야하기 때문에 대기실에서 공연장까지 가는길에 계단이나 장애물이 많을 경우 공연장 선택을 피하는 것도 필요하다.

3. 사전에 무대 배치 생각해오기!

보통 행사전 공연장 섭외시 무대 배치에 대해 담당자 스스로 밑그림이 있어야 한다.

말로하기 어렵다면 과거 공연했을때 사진이나 동영상 자료를 직접 보여주면서 공연장에서 관련 시설(무대단, 마이크, 보면대, 사회자, 피아노 등)을 준비할 여력이 있는지 확인하는것 또한 필요하다.

4. 무대 동선 잘 파악하기!

공연행사에 있어 무대동선은 중요하다. 누가 어디로 들어오고, 나가는지 등 관객들이 봤을때 어색하지 않게 사전에 미리 정리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행사전 혹은 행사당일 리허설은 필수다. 리허설이라고 누구는 빠진 상태로 하면 안됀다.
모두 참가하게 해서 리허설을 통해 각자 동선을 확인하는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무대위에서 스태프의 동선도 중요한데 암막이 내려온 후 무대위에서 무대 스텝 동선이 복잡하면 애써 준비한 공연이 복잡해 보인다.

그래서 행사시 시나리오에 따른 스텝과 출연진의 역할을 미리 사전에 기록해서 나눠주는 것이 좋다.

5. 내빈석 사전에 확인!

복지관 행사에 꼭 참석하시는 내빈석 지정도 필요하다.

보통 가장 잘보이고 편한 자리를 내빈석으로 준비하고, 내빈석이란 표시를 해주면 좋다.

6. 스텝관리 잘하기!

조통 행사를 진행할때 동료직원들이 스텝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아무리 사회복지사가 만능이지만, 막상 처음 해보는 스태프 역할을 원활하게 하는것은 어렵다...

그래서 담당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우선 업무들을 세분화해서 알려줘야 한다.

그리고 복장도 중요한데, 무대스탭은 캐주얼하게 입되 상의는 블랙, 하의는 검정톤의 복장을 입도록 해야한다. 왜냐하면 흰색톤이나 야광이 들어가는 복장을 입을 경우 무대위에서 돋보이기 때문에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입장에서 공연을 보는 감정선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는 반대로 접수대에 있는 스탭의 경우 공연특성에 따라 음악회면 정장, 연극의 경우 단정한 옷으로 입기를 권장한다.


728x90